<p></p><br /><br />아는 기자, 정치부 조영민 기자와 오늘 있었던 대통령실 인적 개편과 관련한 뒷 이야기 좀 더 들어보죠. <br><br>Q1. 대통령 취임 104일 만에 이뤄진 인적쇄신입니다. 예상대로 정책과 홍보라인 강화에 초점을 맞췄던데요. 신설된 정책기획수석에 임명된 이관섭 수석의 소감이 좀 눈에 띄더라고요? <br><br>먼저 들어보실까요? <br> <br>[이관섭 / 대통령 정책기획수석] <br>"대단히 마음이 무겁고 착잡합니다. 많은 국민들의 기대와 희망을 가지고 출범한 윤석열 정부가 최근 들어서 굉장히 아쉬워하는 국민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.“ <br> <br>이관섭 신임 수석은 문재인 정부 당시탈원전 정책을 반대해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임기를 절반도 채우지 못하고 중도 사퇴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주변에 발탁 배경을 물어보니 관료 출신이지만 정치권까지 마당발인데다 윗사람에게도 할 말은 하는 스타일이라고 하더라고요. <br> <br>그동안 만 5세 입학 등 정책 혼선으로 인한 비판이 많았던 만큼 윤 대통령은 정책기획수석실에 정책 조율 뿐 아니라 대통령의 메시지를 관리하는 역할을 부여하며 힘을 실어줬습니다. <br><br>Q2. 김은혜 전 의원이 홍보수석으로 다시 돌아온 것도 눈에 띄어요. 김은혜 수석 경기지사 선거 이후 학업을 위해 독일에 머물고 있지 않았나요? <br> <br>윤 대통령과 직접 소통하며 의중을 정확히 파악하고 대중적 인지도까지 갖춘 만큼 홍보 수석에 적임자라는 판단을 한건데요. <br> <br>김은혜 홍보수석은 대선과정부터 인수위까지 홍보라인 수장 역할을 맡기도 했고 언론 대응도 유연하다는 평가를 받아왔습니다. <br> <br>Q3 당초 김은혜 홍보수석이 대변인까지 겸임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는데 교통 정리가 됐습니까? <br><br>오늘 브리핑 이후 기자들과 만나 "홍보수석실 내부 역할 조정을 어떻게 할지 조만간 말씀 드리겠다"고 했는데요 <br> <br>강인선 대변인이 본인의 전공분야라 할 수 있는 외신 쪽 업무를 중심으로 맡고 김 수석이 직접 브리핑을 하며 국내 정치와 현안 대응에 나설 가능성이 높은데요. <br> <br>아직 정확히 역할 분담이 이루지지 않아서 정리가 필요해 보입니다. <br><br>Q3. 신설한 수석 자리를 제외하면 사실상 홍보라인에 대한 '원포인트 교체' 성격이 강한데 이유가 있을까요? <br><br>그동안 홍보라인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를 보면 이유를 좀 알 수 있겠습니다. <br> <br>최근 대표적인 것 두가지만 꼽아 봤습니다. <br><br>대통령이 휴가를 어떻게 보내고 계신가. 기자들 물음에 "산보도 하고, 영화도 보고 오랜만에 푹 쉰다" 라는 게 홍보라인의 공식 언급이었습니다. <br> <br>국정 지지율이 하락하는 시점에 이런 답변이 과연 적절하냐는 지적이 나왔죠.<br> <br>기습 폭우로 인해 윤 대통령이 죄송한 마음이라고 국민들에게 사과를 했는데 "사과가 아니다" 라고 말했다가 다시 '사과가 맞다' 라고 번복한 일도 대표적 홍보 실책으로 꼽힙니다. <br><br>윤 대통령이 강조하는 게 있는데 바로 정부 정책 홍보입니다. <br> <br>얼마 전 회의에서는 "국민들이 모르는 정책은 없는 정책이나 마찬가지이다"는 말도 직접 한 것으로 전해집니다. <br><br>정책들 가운데 국민들의 지지를 받을 만한 것들도 있는데 제대로 홍보가 되지 않는다는 인식도 이번 인사 개편에 반영됐습니다. <br> <br>민주당은 정책-홍보라인만 교체된 것을 두고 민심이 아닌 윤심 인사, 국민 소통을 외치더니 불통인사로 국민을 우롱했다는 비판도 내놨습니다. <br> <br>Q6. 여야 두 정당 상황도 짧게 짚어보죠. 국민의힘도 전당대회 개최 시기를 언급하며 빠른 정상화에 속도를 좀 내는 것 같죠? <br> <br>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한 언론인터뷰에서 "12월 즘 전당대회를 시작하면 (내년) 1월 말이나 2월에 새 지도부가 뽑힐 것"이라고 했는데요. <br> <br>이준석 전 대표 징계가 내년 1월 초에 끝나는 만큼 12월에 후보자 등록이 마무리되면 이 전 대표는 출마할 수 없게 됩니다. <br> <br>Q7. 민주당도 살펴볼까요? 이재명 대세론이 굳어지는 분위기인데 내부에서는 민주당의 위기라는 말이 나온다는데 왜 그런건가요? <br> <br>이재명 민주당 의원은 70%가 넘는 득표율을 보이며 역대 최대 득표율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투표율은 낮기 때문인데요. <br> <br>[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호남당원 오늘의 민주당을 불신임하고 있는 거 아닐까"<br> <br>[윤영찬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참으로 충격적 무서워. 당원이 당을 냉소하고 전대 외면하는 현실 부끄럽습니다 두렵습니다"<br> <br>특히 민주당의 기반인 호남 투표율이 제주도를 제외하고는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다 보니 이재명당에 대한 반감때문이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. <br><br>